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상품명 | [coupling] DRG-16 (세트스크류/크램프타입) |
---|---|
판매가 | 8,340원 |
수량 | ![]() ![]() |
체결타입 | |
---|---|
내경1 | |
내경2 | |
옵션선택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요공지] 2022.08.01부터 "www.motorbank.kr"(클릭) 에서 구매 진행 부탁드립니다.
두리커플링의 특징
http://www.durimitec.com/pro1.html
두리 커플링은 구동축과 종동축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두리 커플링은 축의 고정방법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두리 커플링 재질은 쉽게 부식되지 않으며, 경량이면서 강성이 높은 알루미늄 합금 (듀랄루민, Duralumin)이기 때문에 보다 가볍고 관성(inetia)이 작은 회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DRN, DRJ, DRP를 제외한 DRB, DRBS, DOH, DOHS, DJC, DJCS, DRJT, DRG, DRGL 등 축을 고정하는 방법에는 다음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세트 스크류 타입과 2종류의 클램프 타입이 준비되어 있으므로 최적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타입에 따라서 입, 출력 축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이나 축경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는 형태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
|
커플링의 선정방법
http://www.durimitec.com/pro1.html
커플링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계산으로는 토크, 동력, 회전수의 함수인 다음과 같은 식이 사용됩니다.
토크 T [N·m] = 9550 × 동력 P [kW] / 회전 수 N [min-1]
동력 변동에 따른 선정 계수 K
전달하는 동력에 변동이 있는 경우, 변동의 종류에 따라 계수 K를 곱한 값보다 큰 상용 전달 토크 성능을 가진 커플링을 선정해야 합니다.
변동 없음~변동 적음: K=1.0~1.5
중간 정도의 변동~큰 변동: K=2.0~2.3
동력변환 효율, 전달효율 η
소비되는 측의 동력을 알 수 있다면 공급 측 동력은 효율에 따라 보다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합니다.
커플링 선정은 공급 측의 동력 값보다 큰 상용 전달 토크 성능을 가진 커플링으로 선정합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기어 구동인 경우에는 전달 효율이 낮기 때문에 보다 큰 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공급동력 Po [kW] = 동력변동 계수 K x 소비동력 PS [kW] / 효율 η : η < 1.0
커플링 선정은 통상적으로 커플링의 상용 전달 토크 > 공급동력에서 구한 토크로 선정합니다.
단, 서보 모터(Servo motor)의 경우, 기동·정지할 때 가속·감속 제어를 위해 순간적으로 매우 큰 토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서보 모터의 최대기동 토크에 1.5를 곱한 토크보다 큰 최대전달 토크값으로 커플링을 선정합니다.
커플링 최대 전달 토크 > 서보 모터의 최대 기동 토크 × 1.5
상용 전달 토크나 최대 전달 토크 중 큰 값으로 커플링을 선정합니다.
기타선정조건
커플링에는 동력 외에도 사용되는 회전 수, 접속하는 2개의 축 사이에 있는 편심(偏心), 편각(偏角), 엔드 플레이(end play) 등도 고려하여 선정합니다. 회전수는 카탈로그 각 형번 페이지에 있는 표의 최대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편심, 편각, 축 방향 변동에 대해서 카탈로그 내 각각의 형번 페이지에 있는 표에 허용 값이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값 이하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
| |
커플링 종류에는 상기를 허용하지 않는 것도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
비틀림 강성 (비틀림 스프링 정수) 이송 나사 기구의 고유 진동 수(위험 속도)는 커플링과 축의 비틀림 강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송 나사 축과 커플링의 합계 강성 kt는 | |
1 / kt = 1 / ks + 1 / kc (직렬접속) | ks : 나사 축의 강성 [N·m / rad] kc : 커플링의 강성 [N·m / rad] Ji : 입력 축 측의 관성 [N·m2] Jo : 축력 축 측의 관성 [N·m2] |
이 kt와 입출력 축 각각의 관성 Ji, Jo에서 고유진동 수 F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Fd = 0.5 · (1 / π)· { 9.8 · kt ·(1/Ji +1/Jo) }-2 | |
비틀림 강성 (비틀림 스프링 정수) 관성 모멘트(moment of inertia)란 회전체의 관성을 말하며 회전체에 회전 토크 T를 부하했을 때의 회전 난이도를 나타냅니다. 대다수 두리 커플링은 경량재를 사용한 콤팩트 설계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동력 전달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값이지만, 기동 토크 등을 계산할 때 다단으로 사용하는 경우나 계 전체의 엄밀한 진동 계산을 하는 경우 등에는 카탈로그의 각 표에 각 형번별로 기재된 값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